10개월동안 커진 자궁 근육은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려고 하며, 자궁 속에 있던 태아를 위한 영양분과 태아의 노폐물 및 배설물을 깨끗이 배출하려고 합니다.
자궁의 수축과 노폐물 및 오로의 배출을 도와주고, 피부 및 말초혈관의 혈액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호르몬의 순환을 돕습니다. 출산 후 임신의 유지와 태아의 성장에 맞춰져 있던 신체기능을 출산 이전의 상태로 원활히 복원될 수 있게 하는 밑바탕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아기에게 칼슘을 뺏겨 골밀도가 가장 많이 낮아진 상태이며, 출산 당시 골반사이로 태아가 빠져나오면서 골반과 관절들은 큰 무리를 겪은 상태입니다.
임신 중 자궁의 변화와 함께 급증한 여성호르몬은 출산 직후 뚝 떨어집니다.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와 출산 이후 변화된 환경과 체형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여성이 산후우울증을 겪습니다.
아기에게 피와 영양분을 모두 나눠준 산모의 신체에 기혈을 보충 하고, 극도로 허약해진 체력에 기운을 북돋워 주기 위한 영양을 공급합니다. 또한 출산으로 손상된 자궁, 질, 비뇨기 계통의 회복을 촉진하고, 자궁수축에서 오는 산후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신체기능을 보합니다.
10개월동안 커진 자궁 근육은 원래의 신체 저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세균감염과 신체 내 상처부위의 염증 발생 등으로 인한 고열과 오한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출산으로 늘어난 뼈마디와 근육 등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신체부위의 무리한 사용으로 인해 관절과 뼈마디의 시림, 저림, 통증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많은 양의 유즙이 뭉쳐 고열과 함께 가슴통증으로 몸살처럼 전신이 쑤실 수 있습니다.
엄마의 회복정도와 건강상태에 따라서 모유가 묽거나 충분한 양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엄마 산후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6~8주 기간 동안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처방은 산모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젖몸살의 경우 유즙배출을 촉진하고 염증을 가라앉혀 주는 치료를 하며, 모유가 부족할 경우는 기혈을 보충하고 순환을 촉진시켜 소화기가 튼튼해지도록 치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