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치료하는 한의사
나병진 원장의 한의학 이야기
맛의 비밀 – 매운맛과 단맛
한의대에서 공부하는 한약의 종류는 300여개가 넘습니다. 그 많은 약재들의 성질과 효능을 외우며 고생했던 숱한 밤들이 아직도 기억에 새록새록 하네요. 그러나 다행이 그리고 당연하게도 약의 성질들 간에는 공통점이 있고 그 공통점들을 중심으로 카테고리가 나뉘게 됩니다. 자 그럼 한약의 성질을 나누는 그 중요한 기준점은 무엇일까요? 칼럼 제목에서 다들 알아채셨겠지만 바로 약재의 맛입니다. 어쩌면 조금 실망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맛이 다르다고 무슨 효능까지 달라져?’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맛의 비밀을 알게 되면 한약의 원리를 알수 있고 또한 어떤 음식이 여러분 개인에게 혹은 상황에 맞는 음식인지 파악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먼저 매운 맛입니다. 맛의 성질을 알고자 할때는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그 맛을 느꼈을때 어떤 느낌이 드는지 몸이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기억해 내시면 됩니다. 일단 매운 고추를 먹었을때를 생각해 보죠. 우선 정신이 번쩍 들고, 땀이 맺히죠, 좀더 지나면 콧물도 흐릅니다. ‘아 매워’를 연발하며 숨을 내쉽니다. 인체 내부의 혈액 순환보다는 체표 쪽의 혈액 순환이 촉진되는 것이지요. 땀을 낸다는 것은 우리 몸 안에서 수렴하는 작용이 아니라 밖으로 뿜어내는 발산 작용을 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숨을 내쉬는 것도 마찬가지이지요. 이런 이유로 매운 맛을 지닌 한약은 주로 외부의 병균이 몸에 막 침입 했을때 자주 사용됩니다. 가장 쉬운 예가 바로 감기일텐데 감기에 쓰이는 한약재들의 맛이 대부분 맵습니다. 감기약이 없으시다구요? 라면에 고추가루 뿌리고 땀을 뻘뻘 흘리며 드십시오. 초기 감기라면 씻은듯이 나을수도 있습니다. 단 감기 초기 일때만 이라는 것을 명심하시구요.
다음으로 단 맛입니다. 달콤한 쵸코렛이나 엿을 먹으면 우리는 기본적으로 힘이 솟는 것을 느낍니다. 단맛은 에너지 즉 기를 북돋우는 중요한 맛입니다. 한약이 대부분 쓰다고 생각하시는데 순수하게 몸을 보하는 보약을 먹게 되면 맛이 정말 달콤하고 좋습니다. 한약이 달콤하면 보약이구나 라고 생각하십시오. 또 달콤한 케익을 먹으면 어떻습니까. ‘흠… 맛있다’라면서 긴장이 풀어지지요. ‘달콤한 사랑’이라는 말 처럼 단맛은 긴장완화에 아주 탁월한 효과를 발위합니다. 이 긴장 완화는 단순히 정신적인 부분 뿐만아니라 육체적인 것 까지 포괄하는것이라 근육의 긴장 즉 쥐가 나는 증상까지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한약 중에 가장 단맛이 강한 약재는 누가 뭐래도 ‘약방의 감초’라 불리우는 감초입니다. 약방의 감초라는 말은 다들 아시다시피 ‘어디에나 빠지지 않는 사람 혹은 어디에나 꼭 필요한 물건’을 가르키는데 거의 모든 한약 방제에 이 감초가 들어가기 때문에 생겨난 말입니다. 감초의 단맛이 서로 다른 맛과 효능을 지닌 약들간의 조화를 이끌어 내기 때문에 감초는 약을 짓는데 빠지는 곳 없이 골고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위에서 언급한 매운맛과 단맛은 각각 어떤 체질의 사람들이 어울릴까요? 일단 매운 맛은 땀을 흘려 내고 발산 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날씬한 사람들 보다는 통통한 사람들에게 좋습니다. 마른 사람들은 몸의 수분을 더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고 살이찌신 분들은 밖으로 빼내는 것이 좋기 때문이죠. 단맛은 당연히 항상 기운이 없으시고 마르신 분들에게 좋습니다. 단맛을 통해 에너지를 기를 북돋우실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탕이나 쵸콜렛 처럼 화학적인 단맛은 일시적으로 기를 보충시키기는 하나 위를 다치게 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천연적인 음식을 통한 단맛을 통해 기를 보충해야 합니다. 이처럼 맛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의학적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번에는 신맛과 짠맛 그리고 쓴맛까지 살펴보며 맛의 비밀을 파헤쳐 볼까 합니다. 두 주 동안 밴쿠버의 초여름을 만끽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밴쿠버 한방 주치의 대표원장 나병진
밴쿠버 다운타운 그린리프 한의원
주소 : 409 Granville St #1455, Vancouver, BC V6C 1T2
문의전화 : (604)322-0293